가사 조사를 받을 때 유의해야 할 8가지 사항
가사 조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알아보고 실수하지 않도록 하세요.
번호 | 제목 | 주요 내용 |
1 | 가사 조사관은 심리 상담사가 아니다 |
- 가사 조사관은 사실 관계 확인 및 평가 역할 수행
- 조언이나 공감 대신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 - 평가 결과는 판사에게 보고됨 |
2 | 가사 조사관도 사람이다 |
- 편견이나 선입견을 가질 수 있음
- 서류 검토 후 선입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- 편파적으로 보이더라도 감정적 대응은 불리함 |
3 | 변호사가 작성한 서면에서 벗어나지 마라 |
- 서면은 유리한 내용으로 구성된 정제된 언어
- 서면과 다른 진술은 서면의 신뢰성을 저하시킴 - 상대방에게 유리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음 |
4 | 객관적 증거가 없는 내용은 인정하지 마라 |
- 증거 없이 인정 시 추후 형사 고소로 이어질 수 있음
- 폭행 주장을 증거 없이 인정하면 불리하게 작용 - 증거 없는 내용에 대한 신중한 대응 필요 |
5 | 겸손은 금물, 당신의 주장을 명확히 하라 |
- 소송은 시시비비를 가리는 과정
- 자신의 잘못을 과도하게 인정하거나 쌍방 귀책처럼 말하면 불리함 - 자신의 잘못은 최소화, 상대방 잘못은 명확히 구분하여 진술 |
6 | 가사 조사관을 공격하지 마라 |
- 가사 조사관은 당신 편이 아님
- 질문은 판사의 궁금증을 대신하는 것일 수 있음 - 공격적인 태도는 부정적으로 기록될 수 있음 |
7 | 가사 조사관은 메신저다 |
- 당신의 말을 판사에게 그대로 전달
- 조사관 보고서가 판사 판단에 중요 영향 - 신중한 발언과 변호사 협의 내용 준수 필요 |
8 | 가사 조사관을 내 편으로 만들어라 |
- 당신의 상황이 이혼 사유에 해당함을 이해시켜야 함
- 감정적 호소도 효과적일 수 있지만, 설득에 집중해야 함 |
1. 가사 조사관은 심리상담사가 아니다
- 가사 조사관은 여러분의 이야기를 듣고,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. 심리상담사처럼 조언을 해주거나 감정적으로 공감해주는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.
- 가사 조사관은 여러분을 평가하고 있으며, 그 평가가 판사에게 보고될 수 있음을 잊지 마세요.
2. 가사 조사관도 사람이다
- 가사 조사관은 편견이나 선입견을 가질 수 있습니다. 서류를 미리 보고 사건에 대한 선입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, 이를 인정하고 대처해야 합니다.
- 조사관이 편파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, 화를 내거나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오히려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.
3. 변호사가 작성한 서면에서 벗어나지 마라
- 변호사가 공들여 작성한 서면은 우리에게 유리한 정황들을 담아 놓은 매우 정제된 언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가사 조사에서 서면과 다른 내용을 말하면, 서면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
- 특히, 서면에 적힌 내용과 다른 진술을 하면, 상대방에게 유리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
4. 객관적 증거가 없는 내용은 인정하지 마라
- 객관적 증거가 없는 내용을 인정하면, 나중에 형사 고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상대방이 폭행했다는 주장을 증거 없이 인정하면, 그 내용이 가사 조사 보고서에 기록되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.
- 증거가 없는 내용은 인정하지 말고, 신중하게 대응하세요.
5. 겸손하지 마라
- 소송은 시시비비를 가리는 과정입니다. 자신의 잘못을 과도하게 인정하거나, 쌍방 귀책인 것처럼 말하면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.
- 자신의 잘못을 최소화하고, 상대방의 잘못을 명확히 구분하여 진술하세요.
6. 가사 조사관을 공격하지 마라
- 가사 조사관은 여러분의 편이 아닙니다. 조사관이 궁금한 점을 물어보는 것은 판사님의 궁금증을 대신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.
- 조사관에게 화를 내거나 공격적으로 대응하면, 오히려 여러분의 태도가 부정적으로 기록될 수 있습니다.
7. 가사 조사관은 메신져다
- 가사 조사관은 여러분의 말을 그대로 판사님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. 조사관이 작성한 보고서는 판사님의 판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.
- 따라서, 조사관에게 하는 말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며, 변호사와 상의한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8. 가사 조사관을 내 편으로 만들어라
- 가사 조사관을 설득시켜야 합니다. 여러분의 상황이 이혼 사유에 해당한다는 점을 조사관이 이해하도록 전략적으로 말하세요.
- 감정적인 호소나 눈물도 효과적일 수 있지만, 목적의식을 가지고 조사관을 설득하는 데 집중하세요.
결론
가사 조사는 단순히 하소연하는 자리가 아니라, 소송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과정입니다. 위의 8가지를 명심하여 가사 조사에 임하시기 바랍니다. 변호사와 충분히 상담하고, 조사관을 설득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'법률상식 > 이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결혼식은 했으나 혼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, 사실혼일까? (이혼) (0) | 2025.02.12 |
---|---|
사실혼 이혼은 어떻게 하나요. (0) | 2025.02.12 |
[이혼] 이혼 조정 신청, 능사인가? 언제 들어가는 게 좋을까? (0) | 2025.02.05 |
[이혼] 이혼 시 부동산 재산 분할 완벽 정리: 시점, 기여도, 명의, 세금, 양육, 대출까지! (0) | 2025.02.05 |
[이혼] 이혼 시 재산 분할, 극단적인 경우 한 푼도 못 받을 수 있다? (가압류의 중요성) (0) | 2025.02.05 |